728x90
반응형
🔍 보고서 개요
2025년 NICE신용평가에서 발표한 산업이슈 보고서에서는,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시장 양극화로 인해 지방 건설사를 중심으로 부실 리스크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.
📉 핵심 요약
1. 지방 건설사 부실 증가
- 2022년 이후 부도난 종합건설사 26개 중 25개가 지방 소재.
- 2025년 들어 시공능력순위 100위 내 중견건설사(신동아건설, 삼부토건 등)도 법정관리 신청.
2. 부동산 양극화 지속 전망
- 수도권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반등 중이나, 지방은 여전히 침체.
- 지방의 착공 대기 물량 증가 + 미분양 물량 누적 → 공급 과잉 우려.
- 인구 유출, 수요 위축으로 부정적 수급 구조 지속.
3. 건설사 유동성 악화
- 분양률 70% 미만 사업장의 매출채권 2.7조 원 이상 → 이 중 73.6%가 지방에 집중.
- 미분양 → 공사미수금 누적 → 유동성 부족 가중.
- PF우발채무(브릿지론·본PF)도 대부분 지방에서 현실화.
4. 부실 징후 건설사 증가
- 2025년 기준, 시공능력순위 100위 이내 건설사 중 2개 이상의 부실 벤치마크 충족 업체 15개 예상.
- 특히 31~100위권 중견 건설사에서 위험이 집중됨.
🧭 결론 및 시사점
- 지방 노출도가 높은 건설사는 유동성 리스크에 더욱 취약.
- 정부의 미분양 매입 대책이 일부 시행되고 있으나, 단기 해결책으로는 한계 있음.
- 분양률, 채권 회수율, PF 리스크를 중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.
728x90
반응형
'건설정보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2025년 공정거래위원회 주요업무 요약 (2) | 2025.04.17 |
---|---|
3월 코픽스 0.13%P 하락…주담대 변동금리 6개월 연속 하락세 (0) | 2025.04.15 |
현장별 기성 지급 기준표 (0) | 2025.04.14 |
신혼부부 주목! 올해 첫 ‘미리내집’ 모집 시작···자격조건은? (2) | 2025.04.14 |
저축은행 PF 대출 전면 중단…금융당국, 강력한 '브레이크' 걸었다 (3) | 2025.04.11 |